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7836

62. 百濟大香爐 62. 百濟大香爐 地祕天慳直待今 眼前物像意深深 雞龍卦象風雷益 民說無疆聖主心 하늘과 땅이 아끼고 감추어 곧장 오늘을 기다렸나 눈 앞에 보이는 물상들 의미가 깊고도 깊어라 위에는 닭 아래는 용 ‘풍뢰익’의 괘상 아닌가 백성들 한없이 기쁘게 함은 거룩한 임금의 마음이로다 [해설] 나는 백제금동대향로에 관심이 많다. 그에 담긴 사상적 의미를 파헤치는 것이 최종 목표다. 근래에 내 나름의 작은 결론을 얻었다. 일차로 향로 맨 위에 있는 동물은 우리나라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닭, 즉 천계(天鷄)요, 맨 아래에서 향로를 떠받치고 있는 동물은 용이 틀림없다. ?주역? 설괘전(說卦傳)을 보면 “손(巽)은 닭이 되고(巽爲鷄) 진(震)은 용이 된다(震爲龍)”고 하였다. 즉 손괘를 동물로 설명하면 닭에 해당하며, 진괘는 용.. 2021. 8. 16.
구름 구름 최규학 구름은 세종대왕의 붓처럼 글씨를 써서 나에게 인생의 비밀을 알려주었지만 나는 읽지 못하였네 구름은 피카소의 손처럼 그림을 그려서 나에게 사랑의 비밀을 알려주었지만 나는 보지 못하였네 구름은 나의 무능을 안타까워하며 나에게 끊임없이 진실을 알리는 편지를 보냈지만 나는 받지 못하였네 인생이 저녁노을처럼 붉어진 다음에야 나는 비로소 깨달았네 내가 찾는 모든 것이 구름 속에 있었다는 것을 인생 자체가 구름이라는 것을 2021. 8. 15.
♥晩齋사랑방 이야기 편지♥ ♥晩齋사랑방 이야기 편지♥ ? 멸 정 ( 滅 情 ) ? -------♡------♡-----♡------- 아무리 정이 들어도 함께 갈 수가 없고, 가지고 갈 수도 없기 때문입니다. ㅡ정든 사람, 정든 물건과 작별하는 일이 멸정(滅情)입니다ㅡ ● 젊었을 적부터 "이 진사"는 , 부인 인 "여주 댁"을 끔찍이도 생각해, 우물에서 손수 물을 길어다가, 부엌으로 날라다 주고,ㅡ 동지 섣달이면,ㅡ 얼음장을 깨고, 빨래하는 부인이 안쓰러워 개울 옆에 솥을 걸고, 장작불을 지펴서, 물을 데웠다. 봄이 되면 아내"여주 댁"이 좋아하는 '곰취'를 뜯으러 깊은 산을 헤매고, "봉선화" 모종을 구해다가,ㅡ 담 밑에 심는 것도 잊지 않았다. 장날이 되면 "이 진사"는 "여주 댁"이 좋아하는 '검은 깨엿'을 가장 먼저 사서 .. 2021. 8. 12.
서경가언 - 瓠巴鼓瑟에 而遊魚出聽 서경가언 - 瓠巴鼓瑟에 而遊魚出聽하고 (호파고슬 이유어출청) 伯牙鼓琴에 而六馬仰秣한다. (백아고금 이육마앙말) 호파가 비파를 연주하자 물속에 놀던 고기가 나와서 들었고,백아가 거문고를 연주하자 여섯 필의 말이 먹이를 먹다가 머리를 들었다. 2021. 8. 1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