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의 이야기]/虛潭(허담)조성열·글모음 168 內篇 德充符(덕충부) (1) 內篇 德充符(덕충부) (1) 魯有兀者王駘(노유올자왕태) : 노나라에 발 하나가 잘린 왕태라는 자가 있었는데, 從之遊者(종지유자) : 그를 따라 배우는 자가 與仲尼相若(여중니상약) : 중니와 맞먹을 정도였다. 常季問於仲尼曰(상계문어중니왈) : 상계가 중니에게 물었다. 王駘(왕태) : ‘왕태는 兀者也(올자야) : 외발이 병신입니다. 從之遊者(종지유자) : 그를 따라 배우는 자가 與夫子中分魯(여부자중분로) : 선생님의 제자와 노나라 인구를 반씩 갈라 가질 정도입니다. 立不敎(립불교) : 그는 서 있어도 별로 가르치는 건 아니고, 坐不議(좌불의) : 앉아 있어도 무엇을 의논하는 것도 아닌데, 虛而往(허이왕) : 빈 마음으로 찾아갔던 자가 實而歸(실이귀) : 무엇인가를 가득 얻고 돌아옵니다. 固有不言之敎(고유불.. 2023. 7. 23. ]장자] 內篇 人間世 (7) [장자] 內篇 人間世 (7) 孔子適楚(공자적초) : 공자가 초나라에 갔는데, 楚狂接輿遊其門曰(초광접여유기문왈) : 그 나라의 광접여가 공자가 머문 집 앞에서 노래하여 이르기를, 鳳兮鳳兮(봉혜봉혜) : " 봉황이여! 봉황이여! 何如德之衰也(하여덕지쇠야) : 쇠잔해진 덕을 어찌하겠는가. 來世不可待(내세불가대) : 앞날은 아직 오지 않았고, 往世不可追也(왕세불가추야) : 지난 시간은 되돌릴 수 없구나. 天下有道(천하유도) : 천하에 도가 있으면, 聖人成焉(성인성언) : 성인은 자신의 일을 이루고, 天下無道(천하무도) : 천하에 도가 없으면, 聖人生焉(성인생언) : 성인은 자신의 생명을 보전할 뿐이네. 方今之時(방금지시) : 지금 세상에 있어서는 僅免刑焉(근면형언) : 환난을 면하는 게 고작일세. 福輕乎羽(복.. 2023. 7. 21. [장자] 內篇 人間世 (5) [장자] 內篇 人間世 (5) 南伯子綦遊乎商之丘(남백자기유호상지구) : 남백자기가 상구 지방에 갔다가 見大木焉(견대목언) : 큰 나무를 보았는데, 有異(유이) : 보통 나무와는 사뭇 달랐다. 結駟千乘(결사천승) : 말 네 필씩 끄는 수레 천대가 將隱芘其所藾(장은비기소뢰) : 나뭇가지와 잎사귀로 가려질 정도였다. 子綦曰(자기왈) : 자기는 다음과 같이 말했다. 此何木也哉(차하목야재) : " 대체 이 나무는 어떤 나무일까? 此必有異材夫(차필유이재부) : 필시 이 나무는 좋은 재목일게야." 仰而視其細枝(앙이시기세지) : 그러나 고개를 들어 가는 가지를 보자, 則拳曲而不可以爲棟樑(칙권곡이불가이위동량) : 구부러져서 대들보로는 쓸 수 없고, 俯而視其大根(부이시기대근) : 고개를 숙여 굵은 밑둥을 굽어보니, 則軸解.. 2023. 7. 19. 內篇 人間世 (4) 內篇 人間世 (4) 匠石之齊(장석지제) 장석이 제나라로 가다가, 至於曲轅(지어곡원) 곡원에 이르러, 見櫟社樹(견력사수) 사당에 심어진 상수리 나무를 보게 되었다. 其大蔽數千牛(기대폐수천우) 나무의 크기는 소를 가릴 정도로 컸는데, 絜之百圍(혈지백위) 양손으로 재어 보니 백아름이나 되었다. 其高臨山(기고림산) 높이는 산을 내려다볼 정도로 커서, 十仞而後有枝(십인이후유지) : 열길 높이에서부터 가지가 나 있었다. 其可以爲舟者旁十數 (기가이위주자방십수) 이나무의 가지만으로도 배를 수십 척이나 만들 수 있을 정도였다. 觀者如市(관자여시) 이 상수리나무를 구경하는 사람이 저자거리처럼 북적거렸으나, 匠伯不顧(장백불고) 장석은 돌아보지도 않고, 遂行不輟(수행불철) 계속 길을 갔다. 弟子厭觀之(제자염관지) 장석의 제자.. 2023. 7. 19. 이전 1 2 3 4 5 6 7 ··· 42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