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용의 길을 가신 성안공
성안상공 상진 (尙震) 선생
상진선생의 자는 기부(起夫)요, 호는 범허정(泛虛亭).향일당(嚮日堂).송현(松峴) 등이며, 시호는 성안(成安)이다. 목천(木川) 상(尙)씨의 족보에 나타나기를 상(尙)씨는 원래 삼국시대 백제국의 유민이었고, 백제가 망한 후 통일 신라를 거쳐 고려 초기까지 이르는 계통은 분명치 못하다는 것이며, 후백제의 부흥 운동에 상애(尙哀).상달(尙達) 등 장군이 참여하였으니 목천(木川), 현재 천안시(天安市) 지역을 중심으로 신흥 고려국에 끝까지 항거하였던 것이다. 상진(尙震)공은 5세에 어머니를 잃고 8세 때 아버지가 돌아가시어 고아의 신세가 되었으며 그 후로 매부 성몽정(成夢井) 의 집에서 자라났다. 소년기에 말타기와 활쏘기를 즐기며, 호탕하고 늠름한 체모의 공은 뒤늦게야 학문에 눈을 떴으며, 비상한 두뇌와 노력으로 학문에 정진하여 6개월 만에 문의(文義)를 통달하고, 10개월 만에는 글의 이치를 깨달아 막힘이 없었다. 열 일곱살 되던 해에 종실 개산부수(介山副守)의 따님과 결혼하였고, 24세에 사마시 (司馬試~生員)에 합격한 후로 공의 문장과 명망이 세상에 널리 퍼지기 시작하였으며, 27세에 대과(大科)에 급제하여 벼습길에 오른 후 72세로 세상을 떠날때까지 46년간 나라의 중요한 직책을 두루 담당하여 지혜와 덕망을 펼쳤던 것이다. 공이 우의정에 오른 것은 57세였고 2년 후에 좌의정(左議政)이 되어 7년간 지내시다가 다시 영의정(嶺議政)으로 올라 7년을 보내셨으니 상신(相臣)으로서의 기간이 모두 16년이었다. 공은 높은 지위를 항상 사양하였으며 영상의 자리에서도 임금님께 간간이 사퇴하기를 자원하였으니 이는 늙은 몸과 마음으로 요직을 담당할 것이 아니라 젊고 유능한 후진들에게 국가와 민족을 위하여 일할 기회를 넘겨 주려는 뜻이었다. 공은 천성이 충후관유(忠厚寬裕) 하고 도량이 넓으며 항상 대경(大經).대법(大法)으로써 상감께 충정을 다하였으므로 이를 정중히 여긴 중종대왕(中宗大王)께서는 어좌의 우측 병풍에 상진공의 이름을 특별히 기록하여 놓았다는 것이다. 공은 당대의 대 정치가로 뿐만 아니라 문학과 예술에도 조예가 깊었으며 여가에는 거문고(七鉉琴)를 즐겨 타시었다고 전한다.
모든 바다의 깊이는 닻줄로 잴 수 있거니와
상진공의 출생 및 성장지는 현 부여군 장암면 합곡리 합하골(閤下谷)이다. 이 곳 맞바위의 지명이 정암 부락으로 정해진 연유는 상진 선생의 정자가 강변의 바위 위에 세워졌던 이 후로 불리어진 것이다. 그 후 1980년 6월 부여군에서는 선생의 출생지인 합곡리에 비석을 세워 그 유허지를 후인들이 잊지 않도록 해 놓았다.
성안공 상진선생 일화 부계문기(:조선 중기의 문신 김시양(金時讓)이 보고 들은 것을 앞 시기의 인물과 정치상황을 중심 성안공 상진(1493 - 1564)의 다음 이야기가 있다. 공이 묻기를 "두 소 중 어느 소가 더 좋습니까?" 하니 공이 이어서 말에 올라탔을 때 노옹이 수십보 뒤따라와서 비밀히 공에게 말하기를 "아까 묻는 말에 즉시 대답해 드리지 못 한것은 두 소가 다같이 노역(勞役)에 부려진 것이 여러 해 되었습니다.
|
'[부여군정(고향)소식] > 부여군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여군(扶餘郡) (0) | 2010.02.10 |
---|---|
성안공 상진 묘역 (成安公 尙震 墓域) 지 정 번 호 :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0호 (0) | 2010.02.10 |
중용의 길을 가신 성안공 상진선생//백제의 주요인물 (0) | 2010.02.10 |
현실감과 행정 능력 뛰어난 명재상 상진 (0) | 2010.02.10 |
(서초)영의정 상진(尙震) 묘·신도비-목천상씨- (0) | 2010.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