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수대통(행운)]/남는얘기

[불상 감상법]후기 불상의 인체묘사 : 착실함이 없어짐 비례의 불균형으로

by 팬홀더/자운영(시적성) 2008. 9. 30.

 

 

후기 불상의 인체묘사 : 착실함이 없어짐 비례의 불균형으로 위축된 조형

의문은 평면적이고 도식적

삼국시대가 지나고 통일신라시대가 되면 중국에서는 중국 역사상 외래문화를 가장 잘 수용 소화한 당의 문화가 개화하던 시기로서 그문화가 신라에도 영향을 끼쳐 불상조각에서도 일대 변화가 일어나게 된다.

  1. 육계는 작아지고 나발이 많아진다.

  2. 미소가 사라지고 단정 근엄한 모습이 된다.

  3. 목에 삼도가 나타난다.

  4. 착의법은 우견편단이 많아진다.

  5. 의문은 좌우 대칭의 양식이 사라지고 자유로워진다.

  6. 상현좌의 형식이 사라지고 의단은 대좌위로 올라가서 대좌가

 완전히 노출된다.

  7. 대좌는 8각이고 복련의 하대석, 중대석, 앙련의 상대석으로

 구성된다.

  8. 수인은 통인이 사라지고 부처의 종류에 따라 달라진다.

  9. 보살상의 자세는 정면직립→본존으로 틀거나(3존일때), 3굴의 자세(독존일때)

 10. 보살상의 천의 X자형 교차가 없어지고 장신구가 화려해진다.

 11. 모든 불상은 살이 쪄서 관능적인 표현이 된다.

   후기(통일)신라시대의 불상조각은 8세기를 고비로 차츰 쇠퇴의 길을 걷게 되는 한편 삼국시대의 미륵신앙을 아미타 신앙이 대신하게 되어 아미타여래상의 제작이 많아진다. 이때의 사람들은 현세에서 선을 쌓아 내세엔 아미타불이 있는 극락정토에서 태어나기를 기원하였고 극락정토는 그들에게는 이상향이고 아미타여래는 최고의 이상적인 존재로 생각되어 아미타여래상을 만들고 그앞에서 지성으로 기원하였던 것이다.

    (3) 고려시대

 고려건국 후 태조의 불교숭상정책으로 많은 사원과 거대한 탑, 불상이 조성 되었다.불상의 중심지도 경주를 벗어나 지방 여러 곳에서 선종사찰이 세워짐과 동시에 지방호족들의 후원으로 불교미술도 지역적으로 발달하였다. 즉, 강릉 지역을 중심으로 통일신라 양식을 계승한 불상형식이 나타나며 연산 개태사 삼존불상이나 논산 관촉사 보살입상,부여 대조사 보살입상등 충청도 지역에서도 개성적이고 규모가 큰 대형불상들이 유행하였다. 고려 초기에도 역시 중국 오대(五代), 요(遼), 송대의 불상에 영향을 받았지만 고려 나름대로의 지역성과 토착적인 조형미를 살려서 인간적인 부처의 모습으로 발전해 나갔다. 고려 후기에 이르면 충청도 문수사, 장곡사의 금동불좌상과 같이 온화하고 정돈된 조형감을 보여주는 불상이 만들어지는 한편, 원나라 왕실과의 교류로 인하여 라마불상의 영향을 받은 장식적이고 새로운 불상형식이 일시적으로 유행하여 조선시대까지 계속되었다. 불상의 양식은 신라의 양식을 계승하였으나 표현이 둔화되고 위축되었으며 신비성이 사라졌다.

신라불상에 비하여 수준이 떨어짐

← 불상이 귀의 감정으로서의 대상임

← 선종의 파격적 시도

☆ 자력+타력의 조화를 못이루고

자력(선종) 또는 타력(불상) 한 의미만의 종교로 변화

← 대중불교, 의식불교로서 각종 불교의식이 성행

<참고> 불상의 의미와 규모의 관계  불상은 두가지의 의미를 지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