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수대통(행운)]/남는얘기

[불상 감상법]불상의 종류

by 팬홀더/자운영(시적성) 2008. 9. 30.

 

  찬란한 불교문화의 꽃을 피웠던

고려왕조가 무너지고 유교를 통치이념으로 삼은 조선왕조가 들어서면서

불교문화가 쇠퇴했다고 생각하기 쉽다.

실제 숭유억불 정책으로 일관하였던 관계로 불교가 큰 타격을 받았지만

완전히 소멸된것은 아니었다.

천년 동안 국민의 사상과 생활을 지배했던 만큼 정치적으로는 억압하였으나

지배계급에서 서민에 이르기까지 그 뿌리는 이어져 내려왔다.

왕가에서의 불사와 서민의 예불은 계속되어 불상의 조성도 필요하였으나

그것은 현세적이며 개인적인 복을 염원하는데 지나지 않아서 사상적인 깊이는 없었던 것이다.

이러한 환경속에서 우수한 불상이 조성될 수 없었고

고려시대의 불상이 쇠퇴하여 조형예술의 퇴보를 가져왔다고 하지만그

래도 개성이 나타나 있었던 것에 비하면 조선시대에 와서는 개성마저 사라지고

시대적인 하나의 양식은 형성되었다고 하더라도

예술적인 아름다움이나 창조적인 양식의 전환은 볼 수 없다.

불상의 종류

원시불교에서는 교주인 석가불만을 불타라 하지만 불교교리의 발전과 함께 많은 종류의 불이 예배되고 또 조상(造像)되었다. 그러나 어느 시대이건 실제로 신앙되고 즐겨 조상된 것은 석가불을 비롯하여 아미타불(阿彌陀佛)·비로자나불(毘盧遮那佛)·약사불(藥師佛)·미륵불(彌勒佛) 등이다. 또한 53불·천불·삼천불 등과 같은 다불(多佛)과 사방불(四方佛)·오방불(五方佛) 같은 방위불(方位佛)도 만들어졌다.

석가모니불

 탄생상

 룸비니 동산에서 탄생 직후 사방으로 일골 걸음을 옮긴 다음 한 손은 하늘을, 한 손은 땅을 가리키며 "이 우주에 나만이 존귀하다"라고 외치는 모습이다.

 반가사유상

 10대 중반 태자 시절의 어느 봄날, 밭갈이 하는 것을 지켜보다가 살고 죽는 것이 괴로움임을 목격하고 깊이 고뇌하는 모습이다.

 성도상

 5세 때 보리수 아래에서 악마의 유혹을 물리치고 깨달음을 이루는 모습이다. 오른 손이 항마촉지인이다.

 설법상

 35세에서 80세 사이 사방을 돌아다니며 대중을 상대로 설법하는 모습이다.

 열반상

 80세에 사라쌍수 아래에서 입적하는 모습이다. 모로 누운 것은 등에 종기가 나서 똑바로 누울 수 없었기 때문이다.

 무량수불, 아미타불

 서방 정토를 주재하는 보신불이다. 협시로는 관음보살과 대세지(또는 지장) 보살이 있다. 선정인 또는 구품인을 한다.

 비로자나불

 여래형

 화엄경의 주존불로서 진리 자체를 상징하는 법신불이다. 지권인을 한다.

 보살형

 대일여해(마하비로자나불)라고도 한다, 금강계 밀교에서는 머리에 보관을 쓴 보살형에 지권인, 태장계 밀교에서는 보살형에 법계정인(선정인)을 한다.

 약사불

 대의왕불이라고도 한다, 동방 유리광세계를 주재하는 보신불이다. 질병과 무지까지 지켜주는 부처이다. 손에 둥근 약단지나 약병을 들고 있다.

미륵불

 석가모니로부터 56억 7천만년 후 이 땅에 내려와 용화수 아래에서 부처가 된 다음, 세 차례의 설법을 통해 중생을 구원한다는 미래의 부처이다.

     2. 보살상

산스크리트 Bodhisattva를 한자로 菩提薩라 음역하는데, 보살이라 약칭한다. 불타가 되기 위해, 즉 보리(菩提)를 구하기 위하여 수행에 힘쓰는 자라는 뜻이다. 독립된 상을 만들어 예배하는 경우도 있고, 불타의 협시(脇侍)로 표현되기도 한다. 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 또는 지장보살(地藏菩薩)과 함께 아미타불의 협시보살이며, 자비의 화신인 관음보살(觀音菩薩)을 비롯하여 문수(文殊)·보현(普賢)·세지(勢至)·지장(地藏)·일광(日光)·월광(月光)·미륵(彌勒) 등 수많은 보살이 조상되었는데, 관음보살 중에도 33관음·11면관음·수월관음·천수천안관음(千手千眼觀音) 등의 종류가 있다. 보살상의 모습은 속세의 귀인(貴人)과 같으며, 몸에는 영락(瓔珞) 등의 각종 장신구를 걸치고 손에는 지물(持物)을 들기도 한다.

3. 나한상(羅漢像)

아라한(阿羅漢)이라고도 하는데, 소승불교의 수행자 중 가장 높은 지위로 온갖 번뇌를 끊고 사제(四諦:苦諦·集諦·滅諦·道諦)의 이치를 터득하여 세상 사람들의 공양을 받을 만한 공덕을 갖춘 성자를 말한다. 각 종파의 창시자나 지도자들도 나한에 포함시킬 수 있다. 대개 수행의 상으로서 표현하는데, 10대 제자상·16나한·500나한 등이 있다. 경주 석굴암의 10대 제자상은 그 훌륭한 예라 할 수 있다.

4. 신장상(神將像)

불법이나 불타를 수호하고 중생에게 이익되게 해주는 호법신(護法神)으로 인왕(仁王)·사천왕(四天王)·팔부중(八部衆) 등이 유명한데, 이들은 원래 인도의 토착신이 불교에 흡수된 것이다. 인왕은 금강역사(金剛力土)라고도 하는데 문을 지키는 수문장 역할을 하며, 사천왕은 불법과 동방(東方:持國天王)·남방(南方:增長天王)·서방(西方:廣目天王)·북방(北方:多聞天王)의 사방을 지킨다. 팔부중은 인도 재래의 8신을 불교에서 흡수한 것으로 그 이름과 모습이 정형화되지 않고 있으며, 불타팔부중과 사천왕팔부중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