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수대통(행운)]/남는얘기

[불상 감상법]한국불상의 역사적인 의미

by 팬홀더/자운영(시적성) 2008. 9. 30.

 

한국불상의 역사적인 의미

불교가 전해진 곳에는 반드시 불상도 존재한다. 불상은 단순히 외형상의 의미가 아니라 한국불교의 존재양상을 반영하고 있다는 데서 역사적인 의미를 살펴 수 있다.

따라서 불상양식의 변천을 살피기 이전에 불상이 내포하고 있는 상을 생각해야 한다. 불상을 만들기 전에는 상을 생각하고 상이 생기면 형체가 생기고 상의 발생이 불심을 낳게 하는 것이다.

이 상의 의미는 두가지 측면에서 살펴볼 수 있다. 물론 불상에 대한 숭배는 일반적으로는 양면을 지니지만 시대에 따라서 또는 민족에 따라서 그 양상이 달라진다.

 

① 예배의 대상으로서의 상. 이 경우 불상에 향하는 마음은 불상이 표현하고 있는 불력에 의하여 구제받으려하는 절대귀의의 감정을 일으킴--크게 조성

② 자력적인 상의 의미. 이 경우 불상에 향하는 인간의 마음은 불상이 지니고 있는 불심을 자기 마음으로 하고자 한다는 것으로 상을 보게 되면 자신이 불심을 지니게 된다는 것--작은 불상이 많고 단순한 예배용이 아닌 수행용의 불상 

  (1) 삼국시대

 삼국시대의 불상 - 서서 다정하게 웃는 부처님

삼국시대에 불교가 처음 수용되었는데, 불교는 윤회사상(輪回思想), 인과응보(因果應報)를 핵심으로 하면서, 어느정도 모든 인간의 보편적인 구원을 이야기하는 인간과 세계의 이해에 있어서 한층 진전된 사상체계이다. 불교는 삼국의 무력 항쟁이 치열하게 전개되던 시기에 사상의 통일과 왕권의 강화를 도모하던 삼국의 왕실을 중심으로 수용되었다. 불교의 수용과 함께 많은 불교 미술품이 만들어졌다. 불교 미술은 현대인이 생각하는 자신의 정서의 표현이나 감상용 미술품이 아닌 종교적인 염원이 담긴 것이었다. 불교가 지배이데올로기로 작용하게 되면서 불교 미술의 양식은 당시의 시대 정신이나 지배층의 성격을 반영하고 있다. 삼국시대를 대표하는 석불은 서산마애 삼존불, 배리 삼체석불, 삼화령 부처 등을 들 수 있는데 이들 불상 양식의 대표적인 특징은 단연 친근감있는 웃음이라고 하겠다. 서서 웃고 있는 이들 부처들은 삼국이 서로 다투어 쟁패하던 시기, 백성들에게 가까이 다가가 그들의 마음을 사려는 왕들의 모습을 연상시킨다.

 <삼국사기>에 의하면 삼국시대는 중국의 한대부터 당초에 걸치는 시기에 해당되나 불상양식에는 6세기 이후 곧 남북조시대부터수(隋)시대에 걸치는 시기의 불상양식과 유사한 양식이 나타난다.삼국은 다음과 같은 공통된 양식의 불상을 제작하였다.

삼국시대의 불상은 대체로 중국 남북조시대의 영향을 받으면서 발전하였다. 고구려의 대표적인 연가 7년명 금동불입상(539년 또는 599년 추정)은 중국 북조(北朝)의 북위양식을 보여주면서도 예리하고 투박한 조각수법이 잘 나타나 있다. 반면에 백제는 남조(南朝) 특히 양(梁)나라와 깊은 관련에 있는데 부여 군수리의 납석제불좌상이나 서산 마애삼존불상의 따뜻한 미소나 자연스러운 곡선에서 한국적인 인간미와 부드러운 조형감각을 느낄 수 있다. 이러한 고구려, 백제의 불상양식은 뒤늦게 발달하는 신라불상에도 영향을 미쳤으며 7세기에 들어서는 수대(隋代)의 새로운 불상양식이 반영되어 경주 배리삼체석불이나 삼화령 미륵삼존상과 같이 부드러움과 양감이 강조되는 불상양식으로 발전하였다. 특히 반가사유형보살상은 미륵신앙과 결합되어 삼국에서 모두 유행하였으며 국보 제78, 83호와 같은 금동반가상은 그 대표가 되는 걸작품이라고 볼 수 있다. 삼국시대의 불상은 몸에 비해 머리가 큰 편이며 얼굴에는 은은한 미소가 있고 손과 다리의 조각표현에는 별로 입체감이 두드러지지 않는 것이 특징이다. 삼국의 각기 특징있는 불교미술은 일본에도 영향을 주어 호오류지(法隆寺)의 목조관음상이나 고오류지(廣隆寺)의 목조반가사유상과 같은 상에 그 영향이 나타난다. 중국의 경우 5호16국시대→남북조시대→동서위시대→제주시대→수→당시대인데 현존하는 불상이 모두 6세기이후의 것이므로 남북조와 제주시대의 양식이 나타나고 있다. 즉 5세기 중엽의 북위양식은 매우 드물고 북위이후부터 수대에 이르는 양식이 나타난다. 그 공통된 특징은 다음과 같다.

1. 몸에는 살이 빠지고 얼굴은 갸름하다가 말기에는 살이 올라서 제주(齊周)양식에 접근한다.

2. 눈은 은행 열매같고 입가에는 미소가 있다.

3. 법의는 통견이고 두껍다.

4. 옷주름은 좌우 대칭으로 표현되었고 좌우에서 고기지느러미같이

 전개된다.

5. 좌상은 상현좌 형식을 취하였고 좌우 대칭으로 복잡한 주름이

 표현되어 있다.

6. 보살의 천의는 앞에서 X자형으로 교차된다.

8. 큰 주형광배안에 삼존을 표현하는 일광삼존 형식이 유행한다.

9. 반가 형식의 미륵보살상이 유행한다.

10. 3도가 없고 수인은 통인이나 여원인에서 약지와 소지를 구부린 것이 많음

11. 입상과 좌상이 많고 반가상이 유행(미륵신앙 유행과 특수층의 자력적 의미 강함)

12. 연화대좌 많고 광배는 주형과 보주형이 많고 주형광배에는 화염문이 조각

13. 말기부터 암석에 감실을 파고 불상을 조각하는 석굴조각의 초기형식이 나타남

14. 이 밖에도 삼국시대의 불상에는 신비성이 농후하나 중국모방으로 자주적인 성격은 약함. 미소나, 수인, 옷주름이 그렇고 반가상에서 더욱 그런 분위기를 느끼게 한다.

 한편 삼국시대 불상에서는 신비성이 진하게 표출된다는 점이 주목된다. 얼굴의 미소, 수인, 옷주름의 형식 등에서 그러한 감각이 강하게 나타난다. 특히 반가상은 그대표적인 예이니 그곳에는 미륵보살에 대한 신앙이 농후하였던 사상적 배경이 있었던 것이다.

   <삼국유사> 미륵선화조에 있는 설화 곧 신라 경주 흥륜사의 중 진자가 미륵보살이 화랑이 되어 현세에 나타나기를 원하여 미륵선화를 만나러 공주 수원사까지 갔으나 결국은 경주에서 만나게 되고 그가 결국 국선이 되었다는 내용은 신라나 백제에서의 미륵신앙의 양상을 짐작할수 있는 구체적인 내용이라고 할 수 있다. 미륵은 내세에 성불할 것을 약속 받은 보살로서 신비로운 존재이다. 미래의 부처에 대한 숭앙과 내세를 생각하면서 현세를 살아가는 삼국시대 사람들의 사상이

 나타나 있는 불상이라고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