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虛潭(허담)조성열·글모음

[장자] 내편 德充符 (2)

by 팬홀더/자운영(시적성) 2023. 7. 23.

[장자] 내편 德充符 (2)

申徒嘉(신도가) : 신도가는

兀者也(올자야) : 형벌로 발 하나가 잘린 사람인데,

而與鄭子産同師於伯昏无人(이여정자산동사어백혼무인) : 정나라의 대신인 자산과 함께 백혼무인을 스승으로 삼고 배우고 있었다.

子産謂申徒嘉曰(자산위신도가왈) : 자산이 병신과 함께 다니는 것이 싫어서 신도가에게 말했다.

我先出則子止(아선출칙자지) : ‘내가 먼저 나가면 자네 남아 있고,

子先出則我止(자선출칙아지) : 자가 먼저 나가면 내가 남아 있을 테니’,

其明日(기명일) : 그 다음날

又與合堂同席而坐(우여합당동석이좌) : 두 사람은 다시 한 집에서 만나 한 자리에 앉았다.

子産謂申徒嘉曰(자산위신도가왈) : 자산이 신도가에게 또 말했다.

我先出則子止(아선출칙자지) : ‘내가 먼저 나가면 자네가 남아 있게.

子先出則我止(자선출칙아지) : 자네가 먼저 나가면 내가 남아 있을 테니,

今我將出(금아장출) : 지금 내가 나가려는데

子可以止乎(자가이지호) : 자네는 남아 있어 주겠나.

其未邪(기미사) : 아니면 못하겠나.

且子見執政而不違(차자견집정이불위) : 그런데 자네는 대신을 보고도 공손히 피하려 하지 않거든,

子齊執政乎(자제집정호) : 그래 자네가 대신과 동등하다는 것인가’.

申徒嘉曰(신도가왈) : 신도가가 대답했다.

先生之門(선생지문) : 선생님의 문하에

固有執政焉如此哉(고유집정언여차재) : 본래 대신이라는 구별 따위가 있었던가.

子而悅子之執政而後人者也(자이열자지집정이후인자야) : 자네는 자기가 대신이라는 것을 좋아해서 그 때문에 남을 깔보고 있는 거다 이런 말이 있지.

聞之曰(문지왈) : 이를 듣고 말했다.

鑑明則塵垢不止(감명칙진구불지) : ‘거울이 밝은 것은 먼지가 앉지 않아서이고,

止則不明也(지칙불명야) : 먼지가 앉으면 흐려진다.

久與賢人處則無過(구여현인처칙무과) : 이와 마찬가지로 오랫동안 현인과 함께 있으면 잘못이 없어진다’고,

今子之所取大者(금자지소취대자) : 지금 자네가 소중히 여길 것은

先生也(선생야) : 선생님의 도일 것인데,

而猶出言若是(이유출언약시) : 아직 그런 소리를 하다니

不亦過乎(불역과호) : 지나친 잘못이 아니겠는가.

子産曰(자산왈) : 자산이 말했다.

子旣若是矣(자기약시의) : 자네는 이미 그런 병신꼴인데도

猶與堯爭善(유여요쟁선) : ‘아직 요임금보다 훌륭해지려 하고 있군.

計子之德(계자지덕) : 자네의 덕을 생각해 보고,

不足以自反邪(부족이자반사) : 스스로 반성할 수가 없는 것인가.

申徒嘉曰(신도가왈) : 신도가가 대답했다.

自狀其過(자상기과) : ‘스스로 잘못을 변명하며,

以不當亡者衆(이부당망자중) : 발을 잘리지 않았어야 했다고 한 자는 많아도

不狀其過(불상기과) : 그 잘못을 변명않고,

以不當存者寡(이부당존자과) : 애초 발이 있어서는 안 되었다고 하는 자는 적다.

知不可奈何(지불가내하) : 사람의 힘으로는 어쩔수가 없음을 알고,

而安之若命(이안지약명) : 그러한 경지에 편안히 머물러 운명을 순순히 따르는 것은

唯有德者能之(유유덕자능지) : 덕이 있는 잠만이 할 수 있는 일이다’.

遊於羿之彀中(유어예지구중) : 예의 활 사정거리 안에서 놀고 있다면,

中央者(중앙자) : 한가운데는

中地也(중지야) : 화살이 명중하는 곳이다.

然而不中者命也(연이부중자명야) : 그런데도 명중하지 않는다면 그것은 운이다.

人以其全足笑吾不全足者多矣(인이기전족소오부전족자다의) : 세상 사람들 중에는 그 두 발이 온전하다고 해서 내 온전하지 못한 발을 비웃는 자가 많다.

我怫然而怒(아불연이노) : 나도 발끈 노하지만,

而適先生之所(이적선생지소) : 선생님께 가면

則廢然而反(칙폐연이반) : 깡그리 잊고 평상시로 돌아온다

不知先生之洗我以善邪(부지선생지세아이선사) : 선생님이 훌륭한 덕으로 나를 씻어 주셨는지 모르겠다.

吾與夫子遊十九年矣(오여부자유십구년의) : 나는 선생님과 19년 동안 사귀어 왔지만,

而未嘗知吾兀者也(이미상지오올자야) : 아직 선생님은 내가 발 병신이란 것을 모른다.

今子與我遊於形骸之內(금자여아유어형해지내) : 지금 자네와 나는 정신적으로 사귀고 있을것인데,

而子索我於形骸之外(이자색아어형해지외) : 내게서 외형적인 것을 찾다니

不亦過乎(불역과호) : 어찌 잘못이 아니겠나.

子産蹴然改容更貌曰(자산축연개용갱모왈) : 자산은 조심스럽게 낯빛을 고치고 말했다.

子無乃稱(자무내칭) : ‘자네 이제 그만해 주게나’.


'[나의 이야기] > 虛潭(허담)조성열·글모음 ' 카테고리의 다른 글

內篇 德充符 (4)  (0) 2023.07.25
內篇 德充符 (3)  (0) 2023.07.25
內篇 德充符(덕충부) (1)  (0) 2023.07.23
]장자] 內篇 人間世 (7)  (0) 2023.07.21
[장자] 內篇 人間世 (5)  (0) 2023.07.19