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나의 이야기]/虛潭(허담)조성열·글모음

[장자] 內篇 人間世 (2)

by 팬홀더/자운영(시적성) 2023. 7. 16.

[장자] 內篇 人間世 (2)

葉公子高將使於齊(엽공자고장사어제) : 섭공자고가 제나라에 사신으로 가게 되자,

問於仲尼曰(문어중니왈) : 중니에게 물었다.

王使諸梁也甚重(왕사제량야심중) : " 왕이 저를 사신으로 보내는 것은 일이 중대합니다.

齊之待使者(제지대사자) : 사신에 대한 제나라의 태도는

蓋將甚敬而不急(개장심경이불급) : 매우 정중한 데가 있지만 일의 교섭에는 서두르지 않을 것입니다.

匹夫猶未可動(필부유미가동) : 필부의 마음도 움직이기 어려운데

而況諸侯乎(이황제후호) : 제후에 있어서는 말할 필요도 없지 않겠습니까!

吾甚慄之(오심률지) : 저는 일을 그르칠까 매우 걱정합니다.

子常語諸梁也曰(자상어제량야왈) : 선생님께서는 일찍이 저에게 다음과 같이 말씀하신 적이 있습니다. '

凡事若小若大(범사약소약대) : ‘무릇 일의 크고 작음에 상관없이

寡不道以懽成(과부도이환성) : 정당하지 않은 방식으로 성취했다면 만족스러운 경우는 드물다.

事若不成(사약불성) : 만일 일이 성취되지 못하면

則必有人道之患(칙필유인도지환) : 반드시 인간 도리의 벌을 왕으로부터 받을 것입니다.

事若成(사약성) : 일을 성취한다 해도

則必有陰陽之患(칙필유음양지환) : 필시 음양의 부조화로 인한 병에 걸릴 것이다.

若成若不成(약성약불성) : 일을 이루거나 못 이루거나간에

而後無患者(이후무환자) : 사후에 근심 걱정이 없는 것은

唯有德者能之(유유덕자능지) : 오직 유덕한 인물만이 할 수 있을 것입니다.'

吾食也執粗而不臧(오식야집조이불장) : 그런데 제가 먹는 것은 보잘것 없고 좋은 음식이 못 됩니다.

爨無欲淸之人(찬무욕청지인) : 음식 지을 때 요리사가 시원함을 바라지고 않습니다.

今吾朝受命而夕飮氷(금오조수명이석음빙) : 오늘 아침에저는 왕으로부터 사신 임무를 부여받고 저녁에 얼음을 먹은 형편인데도

我其內熱與(아기내열여) : 오히려 저는 속에서는 열이 식을 줄 모릅니다.

吾未至乎事之情(오미지호사지정) : 아직 일에 착수하기도 전에

而旣有陰陽之患矣(이기유음양지환의) : 이미 음양의 부조화로 인한 병에 걸렸습니다.

事若不成(사약불성) : 또한 임무를 완수하지 못할 경우,

必有人道之患(필유인도지환) : 반드시 왕은 인도의 환난을 내릴 것입니다.

是兩也(시량야) : 이 두 가지 재앙은

爲人臣者不足以任之(위인신자부족이임지) : 신하된 제가 임무를 감당하지 못해서 생기는 것입니다.

子其有以語我來(자기유이어아래) : 부디 선생님께서 저에게 가르침을 내려 주시기 바랍니다."

仲尼曰(중니왈) : 중니가 말했다.

天下有大戒二(천하유대계이) : " 천하에 크게 경계할 일이 두 가지 있습니다.

其一命也(기일명야) : 하나는 명이고

其一義也(기일의야) : 다른 하나는 의입니다.

子之愛親命也(자지애친명야) : 자식이 어버이를 섬기는 것은 명으로

不可解於心(불가해어심) : 사람의 마음에서 제거할 수 없습니다.

臣之事君義也(신지사군의야) : 신하가 왕을 섬김은 의로서

無適而非君也(무적이비군야) : 어떤 경우에도 왕은 왕인 것입니다.

無所逃於天地之間(무소도어천지지간) : 이 둘은 하늘과 땅 사이에서 피할 수 없는 것으로

是之謂大戒(시지위대계) : 이를 크게 경계할 일이라고 일컫습니다.

是以夫事其親者(시이부사기친자) : 따라서 어버이를 섬김에 있어서는

不擇地而安之(불택지이안지) : 어떠한 상황에서도 편안히 모셔아만

孝之至也(효지지야) : 지극한 효도라 할 수 있습니다.

夫事其君者(부사기군자) : 또한 임금을 받드는 데 있어서

不擇事而安之(불택사이안지) : 무슨 일이든 가리지 않고 편안히 섬겨야만

忠之盛也(충지성야) : 최고의 충성이라고 할 수 있읍니다.

自事其心者(자사기심자) : 스스로 자기 마음을 섬기는 사람은

哀樂不易施乎前(애락불역시호전) : 눈 앞에 어떤 일이 일어나도 슬픔과 즐거움으로 흔들리지 않습니다.

知其不可奈何(지기불가내하) : 사람의 힘으로는 어찌할 수 없음을 알고,

而安之若命(이안지약명) : 마음을 편히 운명에 따르게 됩니다.

德之至也(덕지지야) : 덕의 지극함 입니다.

爲人臣子者(위인신자자) : 왕의 신하이거나 사람의 아들이거나

固有所不得已(고유소부득이) : 참으로 부득이한 경우에 부딪히면

行事之情而忘其身(행사지정이망기신) : 주어진 바를 충실히 행하고 자기 몸을 보살피지 않아야 합니다.

何暇至於悅生而惡死(하가지어열생이악사) : 그러니 어느 겨를에 삶을 좋아하고 죽음을 싫어하겠습니까!

夫子其行可矣(부자기행가의) : 그대는 주저하지 말고 임무수행을 위해 제나라도 가는 게 좋겠습니다.

丘請復以所聞(구청복이소문) : " 제가 들은 바를 거듭 말씀드리겠습니다.

凡交近則必相靡以信(범교근칙필상미이신) : 무릇 가까운 나라와 교류할 경우에는 반드시 신의로서 서로 존중하고,

交遠則必忠之以言(교원칙필충지이언) : 먼 나라와는 모름지기 말로써 자기 뜻을 표시하는 것입니다.

言必或傳之(언필혹전지) : 말에는 그것을 전할 사신이 필요한데,

夫傳兩喜兩怒之言(부전량희량노지언) : 양쪽이 모두 기뻐하거나 화나게 하는 말을 하기는

天下之難者也(천하지난자야) : 천하에 매우 어려운 것입니다.

夫兩喜必多溢美之言(부량희필다일미지언) : 양쪽이 모두 기뻐하면 필시 지나치게 미사여구가 많은 것이고,

兩怒必多溢惡之言(량노필다일악지언) : 모두 화를 낸다면 틀림없이 지나치게 헐뜯는 말이

凡溢之類妄(범일지류망) : 그것에 넘칠 정도로 많은 것입니다.

妄則其信之也莫(망칙기신지야막) : 말이 망령되면 말은 미덥지 않습니다.

莫則傳言者殃(막칙전언자앙) : 말에 믿음이 안 가면 이를 전한 사신은 처벌을 받게 마련입니다.

故法言曰(고법언왈) : 그러므로 격언에 말했습니다.

傳其常情(전기상정) : '평소에 있는 진실된 말은 전하고,

無傳其溢言(무전기일언) : 지나친 언사는 전하지 않으면,

則幾乎全(칙기호전) : 우선은 안전하다고'고 했습니다.

且以巧鬪力者(차이교투력자) : " 또한 재주를 겨루는 경우,

始乎陽(시호양) : 처음에는 기쁜 마음으로 시작하다가도

常卒乎陰(상졸호음) : 항상 끝에 가서는 화를 내게 되는데,

泰至則多奇巧(태지칙다기교) : 지나치게 되면 간계가 많아지게 됩니다.

以禮飮酒者(이례음주자) : 예를 갖추고 술을 먹을 때도

始乎治(시호치) : 시작은 법도에 맞지만,

常卒乎亂(상졸호란) : 마지막에 가서는 늘 난잡해지고,

泰至則多奇樂(태지칙다기락) : 지나칠 경우에는 추잡한 쾌락을 추구하게 됩니다.

凡事亦然(범사역연) : 모든 일에 이와 같아서

始乎諒(시호량) : 시초에는 상호 신뢰 속에서 진행되나,

常卒乎鄙(상졸호비) : 시간이 지나면 서로를 속이려는 마음이 생깁니다.

其作始也簡(기작시야간) : 처음에는 간략하다가도

其將畢也必巨(기장필야필거) : 마지막에 이르면 복잡다단해집니다.

言者風波也(언자풍파야) : 말이란 바람 따라 일어나는 물결과 같고,

行者實喪也(행자실상야) : 행동에는 득실이 있습니다.

夫風波易以動(부풍파역이동) : 풍파는 요동하기 쉽고,

實喪易以危(실상역이위) : 득실은 위태롭기 십상입니다.

故忿設無由(고분설무유) : 따라서 화가 나는 것은 다름이 아니라
巧言偏辭(교언편사) : 교묘한 언사와 왜곡된 말 때문입니다.

獸死不擇音(수사불택음) : 짐승이 죽음에 이를 경우 아무렇게나 악을 쓰게 되고,

氣息茀然(기식불연) : 호흡은 거칠어집니다.

於是竝生心厲(어시병생심려) : 이에 마음이 병이 생기는 것입니다.
剋核太至(극핵태지) : 남을 지나치게 비난하면

則必有不肖之心應之(칙필유불초지심응지) : 상대도 사납게 대응하게 되지만,

而不知其然也(이부지기연야) : 왜 그런지 까닭을 모르게 됩니다.

苟爲不知其然也(구위부지기연야) : 참으로 그 이유도 알지 못하는데,

孰知其所終(숙지기소종) : 누가 그 타툼의 종말을 알겠습니까!

故法言曰(고법언왈) : 그러므로 속담에 말했습니다.

無遷令(무천령) : '왕의 명령을 고치지도 말고,

無勸成(무권성) : 무리하게 명령을 수행하지도 말라'고 일렀습니다.

過度益也(과도익야) : 지나친 것은 불필요함을 덧붙이는 격입니다.

遷令勸成殆事(천령권성태사) : 왕의 명령을 바꾸거나 무리한 임무를 수행하는 것은 위험을 자초합니다.

美成在久(미성재구) : 좋은 일은 이루어지는 데 오랜 시간이 소요되지만,

惡成不及改(악성불급개) : 한번 저지른 나쁜 일은 고칠 수 없으므로

可不愼與(가불신여) : 어떻게 삼가지 않을 수 있겠습니까!

且夫乘物以遊心(차부승물이유심) : 그저 사물의 움직임에 마음을 싣고,

託不得已以養中(탁부득이이양중) : 어쩔 수 없는 자연의 흐름에 따라 중도를 지키는 것이

至矣(지의) : 최상입니다.

何作爲報也(하작위보야) : 어찌 조작해 왕에게 보고하겠습니까.

莫若爲致命(막약위치명) : 사실 그대로 전하는 것이 제일이지만

此其難者(차기난자) : 이것은 참으로 어렵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