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 부여 마을 문화]<반산리>
==정찬응 ==
사)백제예술문화연구소
百濟一日一史
부여의 백제예술문화(扶餘의 百濟藝術文化)
소반 모양의 반산리
반산저수지 일명 구룡지(九龍池)가 있는 규암면의 중앙지대로 , 북쪽으로는 은산 내지천에서 흘러내린 수목천과 은산천이 합류되어 백마강으로 흐르고 동남쪽으로는 넓은 들을 바라보는 대부분의 평탄한 지형으로 야산지대이다.
예전 반산저수지와 제방공사 전에는 홍수에 강물이 범람하면 섬모양으로 떠 있는듯 하여 소반모양의 반산이다.
백제 때는 사비군(泗沘郡)에, 신라 때는 부여군(扶餘郡)으로 백제가 부여로 천도한 이 후에 인류의 정착하기 시작하면서 부락이 형성되었고 백제가 멸망한 후에 많은 정착민이 농경지 개간하며 큰 부락이 형성하였다.
고려 때에는 한때 공주군에 속했었고 조선시대 초기에는 부여현의 천을면(淺乙面)에 속했었다.
조선 말기에는 부여군의 천을면 지역으로서 소반모양의 산으로 이루어져 소반뫼 또는 반산(盤山)이라 하였고 1914년 행정구역 통폐합에 의해 걸산리(杰山里)와 신대리(新垈里) 일부를 병합시켜 반산리로 규암면에 편입하였다.
고적은 반산성(盤山城)이 있으며 걸산, 소반뫼, 학교삼거리의 자연부락이 있다.
반산성은 반산리 마을의 서쪽 해발 50m의 ‘소반뫼’정상에 테뫼식으로 축조한 토축산성으로 성 둘레는 150m 정도이다. 비록 소규모의 산성이지만 평야지대에 솟은 구릉의 지형을 이용하여 쌓았으므로 주위에 장애물이 없어 관측이 매우 양호하다. 산성 서쪽에는 반산저수지를 사이에 두고 봉황산성과 구봉산성이 있고 동쪽에는 외리산성과 부산성, 북서쪽에는 미녀봉산성이 가까운 거리에 위치하여 서로 대하고 있다. 성내는 990㎡ 정도의 평탄한 대지가 형성되어 있다. 성벽은 경사면을 이용하여 토축하였으며 지금은 식별이 어려울 정도로 붕괴되어 있는 상태이다.
-문화재청 참고-
'[부여군정(고향)소식] > 부여군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찾아가는 부여 마을 문화]<오수리><백강전투> (0) | 2025.05.17 |
---|---|
[찾아가는 부여 마을 문화]<합송리> ==정찬응== (0) | 2025.05.17 |
[찾아가는 부여 마을 문화]<모리> (0) | 2025.05.08 |
[찾아가는 부여 마을 문화]<규암면/내리>정찬응 (0) | 2025.05.06 |
[찾아가는 부여 마을 문화] <신성리> (0) | 2025.05.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