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물극필반 💚
(物極必反)
"사물이 極에 달하면
반드시 반전한다."
우리나라 속담에
"달도 차면 기운다."
와 같은 의미입니다.
태조 이성계는 무학대사와 가끔
바둑을 두었습니다.
실력은 대등했으나 이기는 쪽은 언제나
이성계였습니다.
이에 이성계가 말합니다.
''대사는 나무를 보고 있지만,
나는 숲을 보는 중이라오."
무학대사는
잔 수에 밝았으나,
이성계는 대세에 밝아
반상을 두루 살피며,
바둑을 두었던 것입니다.
그러던 어느 날 이성계와 무학대사가 길을 가다가,
한 농부가 山 밑에서 집을 짓고 있는 광경을
보게 되었습니다.
풍수지리에 能한 무학대사는,
그 농부가 3년 안에
巨富(거부)가
될 거라고 말합니다.
고래등 같은 기와집이
들어설 자리라고 말했습니다.
그러자 이성계는 반대로,
"저곳은 몇 년 안에
폐허가 될 것"
이라고 말했습니다.
그리고 두 사람이
내기를 約束 합니다.
그로부터 3년 후,
그곳을 지나던 무학대사는,
자신의 생각과 반대로
폐가가 되어 있는 광경을 목격하게 됩니다.
그는
이 사실을 이성계에게 傳 했습니다.
그러자 이성계는 웃으며,
"대사는 풍수지리에는 밝으나 대세를 판단하는 데에는 弱하다."
고 충고합니다.
그곳이 폐허가 된 것은,
무학대사의 풍수지리 가 맞아떨어졌기
때문입니다.
대사의 예상대로
그 농부는 큰 富者가 되었습니다.
무학대사가 본 것은
여기까지입니다.
하지만 이성계는 부자가 된 사람이,
더 이상 이런 골짜기에
살지는 않을 것이라고 판단했습니다.
분명히 사람이 많은 곳으로 가서,
떵떵거리며 살 것이라고 판단한 것입니다.
그래서 그 집은 폐허가
되어 있었습니다.
무학대사는 풍수지리를
읽는 것에는 能했지만
이성계처럼 사람의 마음을 읽고 결과를
예측하는 데에는 부족했던 모양입니다.
여기서 우리가 배워야 할 점이 있습니다.
집터가 명당임을
아는 것까지는 "배움의 영역"이고,
부자가 된 농부가
그 집을 떠날 것까지 보는 것은
"비움의 영역"입니다.
바둑에서는 이를 "통유"의
단계라고 합니다.
"통유" 란
채우는 단계를 지나 비움으로써,
또 다른 세계가
있음을 알고
이해하는 경지를
말합니다.
현재의 삶보다
더 높은 차원의 삶을 살아가려면,
우리는 자기가 형성해 놓은 "자신의 틀"을
깨고 나와야 합니다.
그래야 비로소
그동안 보지 못했던
다른, 다양한 현상을 발견할 수 있습니다.
"부분적으로는
옳을 수 있어도,
전체적으로
틀릴 수 있다"는
사실을
명심해야 합니다.
물극필반!
*달도 차면 기웁니다*
지나친 욕심을 부리지
말라는 뜻입니다.
어제 보다 더 幸福한
오늘이 되시길 빕니다
좋은 하루♡♡♡
'[나의 이야기] > 최규학·시집만들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3.06.18 [잠실 롯데 민속박물관] (0) | 2023.06.22 |
---|---|
풀 (1) | 2023.06.19 |
기다림 (0) | 2023.06.01 |
사모님 (0) | 2023.06.01 |
<인생 삶에 3사 3걸 3기> (0) | 2023.06.01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