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운수대통(행운)]/남는얘기

불상 감상법

by 팬홀더/자운영(시적성) 2008. 9. 30.

 

 

 


 

불상 감상법

첫째, 종교적 편견을 버리고 우리의 문화재라는 편안한 마음을 가지고 감상하자. 기독교에 대한 교양과 종교적 친근감이 없어도, 관련 작품을 서양의 문화예술로서 감상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둘째, 기왕이면 불상의 개요을 알고 감상하자.

가장 많이 조성되어 있는 불상으로 중심 전각에 모셔져 있는 부처상, 부처를 보좌하는 보살상, 동서남북의 수호신인 사천왕상과 금강역사라 불리는 2구의 인왕상, 염라대왕을 비롯한 시왕상, 나한상 등이 있다.

셋째, 부처상은 종교적 신성이 넘치게, 보살상은 자애로운 모성을 가진 여성처럼, 수호신인 사천왕상이나 인왕상은 근육질의 장군처럼 표현하고 있다.

넷째, 신체 각부의 비례를 살펴보고, 얼굴의 눈·코·입·귀와 목걸이 같은 장신구, 옷주름 등의 조각을 세심히 살펴보자.

다섯째, 감상하면서 나름대로 조성시기를 추정해보자.

불상의 조성시기를 칼로 두부 자르듯이 추정하기는 어렵다. 그러나 고구려의 계통의 불상은 '눈두덩이가 은행알처럼 도드라져 있고 옷자락 양끝이 날카롭게 뻗쳐 있다' 거나 조선시대의 불상은 '서안 앞에서 책을 읽는 선비의 모습이다'처럼 삼국시대·통일신라시대·고려시대·조선시대의 특징이 있다.

여섯째, 불상만 살펴보고 마는데 대좌·불상 위에 달아놓은 닷집·탱화·전각의 현판과 주련의 글씨도 감상하자.

일곱째, 종교적 신성을 느껴보자.

조각의 아름다움만 감상하지 말고, 오랜 세월 고관대작에서 거리의 거지에 이르기까지 인간들의 소망을 담은 경배를 받았을 것이다.

(부처)의 종류

● 佛이란?

나집譯本만이 불(佛)이라 하고, 다른 유지본·진제본·급다본·의정본 등은 불바가바(佛婆伽婆) 또는 간단히 바가범(婆伽梵)으로 번역하고 있다. 범어는 Bhagavat로서 세존으로 번역되지만, 일반적으로 제자가 스승에 대해서 부르는 호칭으로 이 말이 사용된다. 佛이란 Buddha(佛陀)의 약칭이다.또한 如來라고도 한다. 즉 진리를 깨달은 사람 진리에 도달한 사람이란 뜻이다. 보편적으로는 우리가 생각하는 佛은 Sakyamuni를 가르키는 말이다. 석가모니란 Sakya족 출신의 聖者란 뜻이다. 석가모니는 이 세상의 인간으로 태어나 부처가 된 분이므로 응신 불이라고 한다.

석존 이전에도 연등불,다보불 등의 과거7불이 있었으며 석가 열반 후 56억 7천만 년 후 나타나는 미륵불이 있다. 불교에서 삼세불이라는 것은 연등불,석가모니불, 미륵불을 가르킨다. 대일여래,아미타여래,약사여래같이 인간세계에 태어나지 않는 부처도 있다. 이들 부처는 석가여래를 절대적인 부처로 믿는 소승교에서 발전한 대승교에서 말하는 부처이다.

대승불교 관에서 삼신불 사상은 응신불인 석가불과 보신불인 서방 아미타불과 동방 약사불, 진리 그 자체를 형이상학적인 의미의 집합 체로 보며 부처의 으뜸인 법신불인 비로자나불로 본다.

● 대일여래

(大日如來)는 마하비로자나여래라고 음역하고 大光明遍照라고 의역한다.이 부처는 전우 주 어디에나 빛을 비치는 참된 부처이며 석가여래는 지구상의 생을 받아 태어난 그의 분신이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그래서 그는 영원한 본체인 부처이고 그의 지혜의 광명은 주야의 구별이 있는 해보다 더하다고 생각하고 있다. 밀교에서 절대적인 부처. 화엄경의 비로자나불과 같은 이름이나 불격은 더 높음. 형상은 다른 여래상과는 달리 불은 보살형 좌상 으로 표현되고 五智五佛을 나타내는 화불이다. 금강계 대일여래 는 몸이 백색에 지권인 태장계는 황금색 몸에 법정계인의 수인임 우리나라에서는 보기 드물다. 이 부처는 지권인을 결하는 수가 많고 때로는 관,영락,팔찌,천의 를 입은 보살형으로 나타나는 수도 있다.

 

● 비로자나불

비로자나불(毘盧자那佛)은 부처의 진신을 나타내는 존칭으로 법신불임. 화엄경의 주존불로 서 밀교의 대일여래와 같은 이름. 지권인의 수인으로 문수,보현보 살 협시 형태와 노사나불,석가모니불 협시 형태가 있다. 통일신라 9세기 이후 유행하였으며 지리산 내원사 소장 석조비로자나불좌 상이 최고이며 보림사,도피안사 철조비노자나불 좌상이 있다.

● 아미타여래

(阿彌陀如來)는 無量光如來 또는 無量壽如來라고 음역한다. 무량수불,무량수광불이라고도 한다. 이 부처의 광명과 자비는 시간과 공간을 초월해서 무한한 세계에까지 미치고 있으며 이 광명을 받은 자는 일체의 苦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한다. 또 이 부처는 지금도 서방 극락에 있으면서 섭 법신원,섭정토원,섭중생원등 48원을 세워 중생을 대자비에 의하여 영원의 구원을 받게 한다고 생 각하고 있으며 <나무아미타불>을 외면 그 광명을 받을 수 있다고 생각하고 있다. 대승불교에서 아미타불은 가 장 중요한 부처로 정토사상의 발달과 함께 우리나라,일본,중국, 인도및 서역에 퍼졌다. 형상에는 단독상과 삼존상이 있는데 아미 타구품인의 손을 취하고 관세음,대세지보살이 협시하나 시대가 내려 가면서 대세지 대신 지장 보살이 등장한다. 삼국시대 보편 적인 신앙으로 자리 잡았으며 경주 구황동 황복사 3층 석탑 출토 금제 아미타 좌상이 유명하다.手印은 설법인, 미타정인, 9품인 등을 취한다.

● 약사여래

(藥師如來)는 東方瑜璃光世界의 교주이며 大醫王佛이라고한다. 질병의 고통에서 구해 주는 부처. 약사유리광여래,대의왕불이라 고도 함. 동방 정유리 세계에 살면서 12대원을 발하여 중생의 병 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해 줌. 좌우 협시로서 일광,월광 보살을 권속으로서 12신상을 손에 약그릇을 들고 있다고도 하고 보주를 쥐고 있다고도 한다. 우리나라는 7세기 중엽부터 시작 8세기 중엽 인 통일신라때 유행하였으며 경주 굴불사 동면 약사불 좌상이 유명하다. 약사여래는 중생의 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하고 재화를 소멸하고 의복 음식 등을 만족케 하는 등 12大願을 세웠는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 내 몸과 남의 몸에 광명이 크게 비치게 하려는 원

. 威德이 높아서 중생을 중생을 모두 깨우치려는 원

. 중생으로 하여금 욕망을 만족하여 결핍하지 않게 하려는 원

.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대승교에 들어오게 하려는 원

. 일체 중생으로 하여금 깨끗한 業을 지어 三聚戒를 구족하려는 원

. 일체의 불구자로 하여금 모든 根을 완전케 하려는 원

. 일체의 중생의 병을 없이하여 몸과 마음이 안락하여 무상보리를 증득케 하려는 원

. 天摩.外道의 나쁜 소견을 없애고 부처의 바른 지견으로 포섭하려는 원

. 나쁜 왕이나 강도 등의 고난으로부터 일체 중생을 구제하려는 원

. 일체 중생의 기갈을 면하고 배부르게 하려는 원

. 가난하여 의복이 없는 이에게 훌륭한 옷을 얻게 하려는 원

등 중생의 질병이나 고난을 구제하려는 부처이다. 그래서 한 손에는 약향아리를 들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