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그때그때 생생화보]/풍양조씨이야기

(스크랩)회양공(淮陽公) 휘(諱) 신(愼)

by 팬홀더/자운영(시적성) 2012. 7. 13.

회양공(淮陽公) 휘(諱) 신(愼)

 

   (풍양조씨 대종회에서 퍼온글입니다.)

 

대언공(代言公)의 제 3남인 휘(諱) 신(愼)은 초명(初名)이 사렴(思廉)인데, 은거할 때에 개명(改名)한 것으로 전하여 진다. 위계가 봉상대부(奉常大夫 : 正 4品)이고 관직이 회양부사(淮陽府使)였으니 회양은 강원도의 북단(北端), 금강산(金剛山)의 서북쪽에 해당하는 고을이다. 세보(世譜)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 태종대왕(太宗大王)이 용잠시(龍潛時 : 王位에 오르기 전이란 뜻)에 공에게서 수학하였는데 정사(定社)를 하고 나니 공은 이미 하세(下世 : 別世)하였으므로 감반지구(甘盤之舊) 를 추념(追念)하여 수묘군(守墓軍) 15명을 내려주고 자손을 불러 썼다”고 되어 있다. 감반지구(甘盤之舊)란 옛날 스승의 은혜란 말이다. 아마 태종대왕이 공에게 수학하였다면 공이 회양부사로 계시고 태종대왕이 함흥(咸興)에 살고 있을 때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회양공의 묘소는 옛날에는 임천(林川)이었으나 지금은 부여군 장암면 점상리(扶餘郡 場岩面 店上里)의 덕림(德林)이란 곳이다. 그리고 그곳은 세상에 널리 알려진 옥녀직금(玉女織錦) 형국(形局)이라 하여 자손은 물론이지만 풍수객(風水客) 등 타인도 많이 찾는 곳이다.

회양공(휘신)묘소

대언공(代言公)의 제 3남인 휘(諱) 신(愼)은 초명(初名)이 사렴(思廉)인데, 은거할 때에 개명(改名)한 것으로 전하여 진다. 위계가 봉상대부(奉常大夫 : 正 4品)이고 관직이 회양부사(淮陽府使)였으니 회양은 강원도의 북단(北端), 금강산(金剛山)의 서북쪽에 해당하는 고을이다. 세보(世譜)의 기록에 의하면 “조선 태종대왕(太宗大王)이 용잠시(龍潛時 : 王位에 오르기 전이란 뜻)에 공에게서 수학하였는데 정사(定社)를 하고 나니 공은 이미 하세(下世 : 別世)하였으므로 감반지구(甘盤之舊) 를 추념(追念)하여 수묘군(守墓軍) 15명을 내려주고 자손을 불러 썼다”고 되어 있다. 감반지구(甘盤之舊)란 옛날 스승의 은혜란 말이다. 아마 태종대왕이 공에게 수학하였다면 공이 회양부사로 계시고 태종대왕이 함흥(咸興)에 살고 있을 때였을 것으로 짐작된다. 회양공의 묘소는 옛날에는 임천(林川)이었으나 지금은 부여군 장암면 점상리(扶餘郡 場岩面 店上里)의 덕림(德林)이란 곳이다. 그리고 그곳은 세상에 널리 알려진 옥녀직금(玉女織錦) 형국(形局)이라 하여 자손은 물론이지만 풍수객(風水客) 등 타인도 많이 찾는 곳이다.

회양공(휘신)재실

은사인 회양공(淮陽公)이 별세하였다는 말을 들은 태종대왕은 무학(無學)에게 ‘묘소 자리나 하나 잡아드리라’고 했다. 무학이 덕림(德林)에 내려와 현재 묘소가 있는 자리를 잡았다 한다. 일설에는 무학(無學)이 임천으로 내려왔을 때, 회양공의 작은 아드님 되시는 사옹원정공(司饔院正公 : 開平)이 기발한 기지를 발휘한 끝에 임천(林川)의 오선영(五先塋)을 잡았다고도 한다. “무학이 내려오자 사옹원정공이 그 안내를 맡았다. 맨 먼저 동곡(東谷)에 자리를 하나 잡으니 ‘마음에 들지 않는다’하여 다시 하나 잡아주기를 청하였으며, 이런 방식으로 동곡(東谷), 노동(魯洞), 지장동(紙庄洞), 신사동(新寺洞), 덕림(德林)의 자리를 얻어 회양공(淮陽公 愼 : 德林), 사옹원정공(司饔院正公 開平 : 東谷), 장사랑공(將仕郞公 厚之 :新寺洞), 증장령공(贈掌令公 益祥 : 紙庄洞), 처사공(處士公 世賢 : 魯洞)이 모두 명당을 얻게 되었다”는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