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부여군정(고향)소식]/부여군 지리

자연부락 명칭 //상진(尙震)선생 관련 동네

by 팬홀더/자운영(시적성) 2010. 2. 11.

상진(尙震)선생 관련 동네


① 서울특별시 중구 상동(尙洞)

남대문 부근 북창동과 남창동에 걸쳐 있는 마을로서 상동(尙洞), 또는 상정승골이란 이름은

명재상 상진이 살았던 곳이므로 브르게 된 이름.
남대문에서 한국은행쪽으로 조금 올라가면 육교가 있고, 그 육교를 건너 남대문 시장으로 들

어가 조금 가면 왼쪽으로 언덕진 고갯길이 나오는 고갯 마루에 상 정승의 집이 있었다.
그후 임금이 탄 수레가 지나가다가 별배들이 "상동이요!" 하고 이곳 지명을 외치면, 임금은 반

드시 수레를 잠시 멈추게 하였다고 전해진다.
그만큼 존경받는 원로대신이 살았던 곳이기에 임금의 마음이 움직였던 것이다.
......................................................................................................................

.............................................................................................................. ................................

②서울특별시 서초구 상정승묘

서초동에서 상명, 방배로 넘어가는 서낭당 고개에 있다.
정승 상진의 무덤이 있는데, 근래에 이장하였는지 여부를 확인하지 못하였다.
......................................................................................................................

.............................................................................................................. ................................

③충청남도 부여군 합하리(閤下里)

장암면 합곡리에서 으뜸되는 마을이다.
조선 전기의 상진이 살앗던 곳이므로 합하리라 부르게 되었다.
합곡리(閤谷里) 역시 합하(閤下)와 상곡(上谷) 마을의 합성(合成) 이름이다.


/////////////////////////////////////////////////////////////////////////////////////////////


④충청남도 천안군 상정승골

목천면 남화리의 통미 서쪽에 있는 골자기로서 줄여서 삼성골이라고도 한다.
조선 명종 때의 정승 상진이 이곳에서 태어났으므로 뒤에 상정승골이라 부르게 되었다.

역사와 지명
출판사-살림터
지은이-김기빈- 중에서 발췌한 내용입니다.

/////////////////////////////////////////////////////////////////////////////////////////////

 

 

성안상공신도비

위키백과, 우리 모두의 백과사전.

 

성안상공신도비(成安尙公神道碑)는 조선 16세기 전반의 명재상 성안공 상진신도비이다. 비문에는 중종·명종 연간에 활약한 그의 행적이 잘 적혀있다. 상진의 자는 기부(起夫), 본관은 목천(木川)으로 성종 24년(1493) 6월 5일 출생하였다. 아버지는 찰방 상보(尙甫)이며, 어머니는 연안인(延安人) 박사 김휘(金徽)의 딸이다. 어려서 부모를 여의고 매부 하산군(夏山君) 성몽정(成夢井)의 집에서 성장했다. 15세부터 학문에 힘쓰기 시작하여 성수침 형제와 교유하였다. 중종 11년(1516) 생원시에 합격하고 1519년 별시문과에 합격하여 승문원 부정자(副正字), 예문관 검열(檢閱)을 지냈다. 그 뒤 예조좌랑으로 북도평사(北道評事)가 되었고, 중종 20년(1525) 예조정랑으로 성절사(聖節使) 서장관(書狀官)이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이어 세자시강원 필선, 사헌부 장령, 사간원 헌납, 홍문관 교리 등을 지냈고, 중종 28년(1533) 사간원 대사간에 제수되어 홍문관 부제학으로 옮겨졌다가 강원도관찰사로 나갔다. 1535년 동부승지ㆍ좌부승지, 1537년 대사간ㆍ형조판서ㆍ대사헌ㆍ평안도관찰사, 중종 37년(1542) 한성부 판윤으로 도총관을 겸직했다. 이어 공조판서·병조판서·지돈녕부사 겸 지의금부사·형조판서 등을 지냈고, 인종 1년(1545) 경기도관찰사, 이듬해 명종 1년(1546) 우참찬으로 전임되었으며 위사원종공신(衛社原從功臣)에 녹훈되어 정헌대부 정2품(정헌대부)에 오르고 지춘추관사를 겸하여 ≪중종실록≫과 ≪인종실록≫의 찬수에 참가했다.

명종 3년(1548) 우참찬, 이듬해 이조판서 겸 판의금부사를 거쳐 정1품 대광보국숭록대부에 올라 우의정에 제수되었다. 이때부터 국정을 주관했는데 문정대비(文貞大妃)가 주장한 불교 양종(兩宗)의 설립에 관해 온건론을 펴 유생들로부터 지탄을 받기도 했고, 부민고소법(部民告訴法)을 실시하여 민원을 살피기도 했다. 1551년 좌의정이 되었고 명종 12년(1558) 영의정에 올라 세자사(世子師)를 겸하면서 이후 5년간 국정을 총괄했다. 1562년 70세로 기로소(耆老所)에 들어가 궤장( 杖)을 하사받았고, 이듬해 정월 사직을 간청하여 영중추부사로 물러났다. 그 뒤 얼마 안되어 순회세자가 사망하자 연일 음식을 폐하고 곡을 하다가 끝내 심장병에 걸려 1564년 윤2월 23일 72세의 나이로 사망했다.청렴하고 중후하며 점잖은 품격으로 조야(朝野)의 신망이 두터웠고 영의정 재임 중 황해도 평산 일대에서 발생한 임꺽정의 난을 평정하기도 했다. 만년에 윤원형·이기소윤 일파와 어울려 사림의 지탄을 받기도 했다.

신도비는 명종 21년(1566) 2월에 세워졌다. 장대석 기단과 네모대좌(臺座) 위에 비신을 얹고, 그 위에 지붕 모양의 화강암제 개석을 얹었다. 대좌 사면에는 네모난 구획 속에 꽃무늬를 새겼다. 비문은 성안공의 손자 상시손(尙蓍孫)의 부탁으로 좌찬성 홍섬이 지었고, 글씨는 송설체(松雪體)에 뛰어났던 여성군(礪城君) 송인(宋寅, 1516∼1584)이 썼으며, "成安公神道碑銘"이란 머리전서[頭篆]는 둘째 사위 예문관 검열 이제신(李濟臣, 1536∼1584)이 썼다.

 

/////////////////////////////////////////////////////////////////////////////////////////////////////////////////////////////////

 

성안상공신도비
(成安尙公神道碑)

 

지정번호국가민속문화재 제60호
(1984년 11월 3일 지정)
소재지서울특별시 서초구 서초동 산 152-5
제작시기1566년(조선 명종 21년)
소유자상문고등학교
수량1기 (전체 높이 362cm, 비신 높이 220cm, 너비 106cm, 두께 36cm)
비고신도비

 

//////////////////////////////////////////////////////////////////////////////////////////////////////////////////

 

성안상공신도비 답사

 

소개

- 1984년에 서울특별시유형문화재 제60호로 지정되었다. 1566년(명종 21)에 세운 이 비는 조선 명종 때 영의정을 지낸 상진(1493∼1564)의 신도비이다. 비문은 선조 때 문장가인 홍섬이 지었으며 글씨는 송인이 썼고 두전은 이제신이 썼다.

 

성안공의 일생

- 상진의 자는 기부, 호는 송현 ·범허재, 시호는 성안이다. 1519년(중종 14)에 별시문과에 급제하여 승문원 부정자에 제수되었다. 이후 홍문관 부제학, 경기도 관찰사, 형조판서 등을 지내고 1549년(명종 4)에 우의정에 올랐다. 그뒤 1563년까지 재상을 지내면서 덕성과 도덕을 넓히는데 힘써 신망이 두터웠다. 1564년 세상을 떠나자 명종은 성안이라는 시호를 내렸다.

 

신도비의 특징

- 신도비의 비신은 거대한 대리석이며 옥개석과 좌대석은 화강암이다. 받침돌은 직사각형으로 지반석과 좌대석이 분리되어 있으며, 측사면에 호문과 조화문이 조각되어 있다. 신도비의 크기는 높이 220cm, 폭 106cm이다.

 

신도비 둘러보기

- 안내표석, 성안공 상진묘역 신도비, 상진 묘소

 

유의사항

- 서울상문고등학교 안에 성안공의 묘소와 신도비가 있어 관람할 때 학생들의 수업에 방해가 되지 않도록 한다.

 

 

//////////////////////////////////////////////////////////////////////////////////////////////////////////////////////////////////

<진짜 청백리는?> 한마리 소일지라도 - 성안공 상진 선생의 묘소를 찾아

조선시대 청백리중 한분인 성안공 상진(尙震, 1493∼1564) 선생의 묘역을 찾아본다.

상진 선생은 조선 중기의 문신으로 본관이 목천(木川)이며 호는 송현(松峴), 범허재(泛虛齋), 향일당(嚮日堂)이다.
1519년(중종 14)년에 문과에 급제하여 사관이 되고 예조좌랑, 대사간, 한성부판윤, 병조판서 등을 거쳤다.
1544년 중종이 죽자 춘추관지사(春秋館知事)로 《중종실록(中宗實錄)》 편찬에 참여하기도 했다.
1549년(명종4년)에 우의정에 오른 이래 15년 동안 3정승(政丞)을 모두 거치며 재상으로 왕을 보좌, 명상으로 조야의 신망이 두터웠으며 정승으로서의 업적은 황희와 허조의 다음이라는 평판을 들었다.
1564년(명종19년) 세상을 떠나자 명종은 성안(成安)이라는 시호(諡號)를 내렸다.

상진 선생의 묘는 의외로 찾기 쉬운 곳에 있음에도 잘 알려지질 않았다.
다름아닌 서울 서초동 상문고등학교 내에 묘역이 조성되어 있다.

정문을 지나 진입로 옆에 나즈막한 언덕과 소나무 숲이 눈에 들어온다.
양 옆으로는 학교와 주차장, 상가가 펼쳐지지만 이곳만큼은 별천지다.

징검다리를 건너듯 보도를 따라 올라가면 잘 단장된 묘역과 신도비가 눈에 들어온다.
특히 신도비는 1984년 서울특별시 유형문화재 제60호로 지정되어 있기도 하다.

옛 양반가 묘역이 그렇듯 여러 기의 봉분이 층을 이루고 있는데 가장 위쪽에 있는 것이 상진공과 부인의 묘다.
선생의 청렴한 삶을 나타내듯 봉분도 그저 소박하기만 하다.
특히 오른편의 문인상은 생전 성안공 선생의 인자한 성품을 옮겨놓은 듯 온화한 미소를 띠고 있는 것이 인상적이다.

상진 선생에 얽힌 유명한 일화가 있다.

선생이 길을 가던 중 두마리의 소를 몰아 밭을 갈던 노인을 보았다.
노인에게 "두마리 소 가운데 어느 쪽이 더 좋은 소인가?" 물었는데 아무 대답이 없었다.
귀머거리인가보다 하고 공이 갈 길을 가는데 노인이 황급히 따라와 조용한 목소리로 말했다.
"방금 전 물으신 것에 즉시 대답을 못드려 죄송합니다. 그 자리에서 좋고 못한 것을 말하면 못하다고 한 소가 언짢아하지 않겠습니까.
그래서 대답을 못해드렸습니다. 사실대로 말씀드리면 저 젊은 소가 더 좋은 소입니다'

이에 공은 크게 깨닫고 노인에게 정중하게 인사드렸다고 한다.
"노인장은 숨어 사는 군자이십니다. 한마리 미물에 대해서도 이와 같은데 사람을 대하여서는 오죽하겠습니까. 노인의 말이 없었더라면 저는 가볍고 얄팍한 사람이 되고 말았을 것입니다"

그 후로 공은 절대 남의 단점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고 남의 과실을 듣더라도 그 이유부터 찾아 용서해주려고 하였다고 한다.
그래서 그는 당대 사람들로부터 어질고 너그러운 사람으로 큰 칭송을 받았다.

전래동화에서 익히 들었던 이야기인데 바로 상진 선생의 이야기임을 알게 되니 더 각별하게 다가오는 것 같다.

상진 선생은 재물을 탐하지 않는 청렴한 정신으로도 유명하다.
본래 집안에 재산이 많았으나 만년에 이르러 사람들에게 돈을 꾸어준 것을 기록한 장부를 불살라 버리고 '나의 후손 중에 잘 될 사람이 있을 것이다'라고 말하였다.

정승 자리에 올라서도 생계에는 관심을 가지지 않았으니 창고는 다 허물어져서 언제나 텅 비어 있었다.
노비가 수리할 것을 청하자 선생은 웃으며 "창고를 고쳐 완전하게 한들 무엇을 넣어 채우겠느냐"라고 말했다고 한다.

한번은 길을 가던 중 금으로 된 술잔을 줍게 되자 집으로 가지고 와서 그 주인을 찾는 방을 붙였다고 한다.
며칠 후 한 사람이 찾아와 자신이 잃어버린 것이라고 하며 사실은 집안 혼사에 쓰기 위해 궁중의 금잔을 몰래 갖다가 쓰고 다시 돌려 놓으려는 중에 잃어버린 것이라는 고백을 한다.
본인도 죽을 죄지만 알려지면 훨씬 많은 사람이 희생될 일임이 자명했다.
이에 상진 선생은 아무 말 없이 금잔을 주어 돌려보냈다.
그 사람이 훗날 값진 보물을 가지고 와 보답하려고 했으나 받지 않았고 다시 말 한필을 가져와도 받지 않았다.
그리고 그 일을 입밖에 내어 일체 다른 사람에게도 말하지도 않았다고 한다.

상진 선생의 일대기를 보노라면 세상 부귀영화를 누릴 수 있는 권좌에 올라 있음에도 재물을 탐하지 않고 미물일지라도 먼저 배려하는 마음가짐이야말로 오늘날 공직자들에게 필요한 덕목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 새삼 떠오르게 된다.

 

[국민권익위원회  청렴한 세상: 퍼온글]

 

 

/////////////////////////////////////////////////////////////////////////////////////////////////////////////////////

 

 

 

 

 

 

 

 

'[부여군정(고향)소식] > 부여군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부락 명칭 //유촌  (0) 2010.02.11
자연부락 명칭 //유촌  (0) 2010.02.11
자연부락 명칭// 역마을 역티  (0) 2010.02.11
유촌(역말)-위성사진  (0) 2010.02.11
상곡-위성사진  (0) 2010.02.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