역마 [驛馬]
역말 이말은 역이 있는마을 이라는 뜻의 지명[마을이름]으로 예전에 역이 설치되어
있는 역을 의미한 말로 역과 마을의 준말인 말이 어우러져 만들어진 합성어다.
역말 또는 포마(鋪馬)라고도 한다. 중요한 교통통신수단으로 문서와 군사정보의 전달,
물자 수송, 관리들의 여행 편의, 사신의 영송(迎送) 등에 쓰였다. 쓰임새에 따라 사람이
타는 기마(騎馬)와 짐을 운반하는 태마(또는 卜馬)로 나뉘고 크기에 따라 대마, 중마,
소마나 상등마(上等馬), 중등마, 하등마로 구분되었다.
국내의 역마제도는 고려 원종 때 제정된 포마법과 1276년(충렬왕 2)에 설치된 포마차자색
(鋪馬箚子色)으로 미루어 보아 고려시대에 이르러서야 기틀이 잡혔음을 짐작할 수 있다.
조선시대에는 1410년(태종 10) 포마기발법(鋪馬起發法)을 제정하여, 왕명으로 역마를 이용
하는 자에게는 관등 품위에 따라 마패를 발급하였다.
마패는 품위에 따라 말을 그려넣었고 다른 면에는 자호(字號), 월일 등이 적혀 있었다.
또한 역마로 충당할 말을 확보하기 위하여 마호(馬戶)와 역리(驛吏)에게 마전(馬田)을
지급하는 마호입역제(馬戶立役制)를 실시하였다.
조선 후기에 들어와 역마의 수요가 급증하자 일반인에게 말을 사서 사용하는 쇄마고립제
(刷馬雇立制)를 병행하여 부족분을 채우기도 하였다. 역마의 관리는 찰방의 책임 아래
병방역리(兵房驛吏)가 맡아하였는데, 마적(馬籍)을 작성하여 보관하였으며 역마 이용자의
관직명과 날짜를 적어 계절마다 말경에 병조에 제출하였다.
驛 峠(역티)
합곡 삼거리(三巨里)에서 임천면 점리 안현동네와 경계를 이루는 곳 까지의 고개를 역티(驛峠)
고개라 한다.
조선(朝鮮)때에 관원(官員)들이 말을 타고 넘어다닌 고개라하여 역티(驛峠)라고 부른다.
지금은 아스팔트 길이라 고개라고 하기가 무색 할 정도이지만 옛날 우리 어릴적엔 가게방에
물건을 실어 나르는 짐 자전거가 있었다.
이 짐 자전거를 역티고개까지 밀어주면 10원의 수고비를 받았다.
일종의 아르바이트다.
그런데 올 때 준다고 하고는 점리에서 원문리로 가는 산길 도로로 가는 악덕 상인이 있었으니..
삼거리에서 짐 자전거 오기만을 고대하던 어린 맘을 그들은 아랐을까나...
'[부여군정(고향)소식] > 부여군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연부락 명칭 //유촌 (0) | 2010.02.11 |
---|---|
자연부락 명칭 //상진(尙震)선생 관련 동네 (0) | 2010.02.11 |
유촌(역말)-위성사진 (0) | 2010.02.11 |
상곡-위성사진 (0) | 2010.02.10 |
합하-위성사진 (0) | 2010.02.1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