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생활의 지혜,달인]/생활정보,안내~

=국보불상=

by 팬홀더/자운영(시적성) 2008. 2. 28.

國寶 28호 백률사금동약사여래입상

栢栗寺金銅藥師如來立像

경북 경주시 인왕동 76 국립경주박물관 보관

이 상은 원래 경주의 북산인 소금강산(小金剛山)에 있는

백률사(栢栗寺)에 안치되었던 것으로,

1930년 국립경주박물관으로 옮겨 전시하고 있다.

높이 177cm. 등신대(等身大)의 중후한 인상을 풍겨주는

통일신라시대 최대의 채색 금동불상이다

國寶 78호 금동미륵보살반가상

金銅 彌勒菩薩半跏像

서울 용산구 용산 국립중앙박물관

한국(韓國)에서는 삼국기(三國期)에 반가사유(半跏思惟)

형식의 불상이 유행하였는데,

이 불상은 그 중에서도 국립중앙박물관에 소장된

반가상(半跏像)(국보(國寶) 제83호)과 더불어

대표작이라 할 수 있다.

國寶 79호 경주 구황리 금제 여래좌상

통일신라 성덕왕 5년(706)에 사리함 속에

순금으로 된 아미타상을 넣었다고 하는데

이 불상이 아닌가 추측된다.

國寶 80호 경주구황리금제여래입상

慶州九黃里 金製 如來立像

서울 용산구 용산동 6가 국립중앙박물관

연화대좌(蓮華臺座)에 푸른 녹이 있을 뿐

광배와 온몸에는 금빛이 찬란하다.

제작은 신라(新羅) 성덕왕(聖德王) 2년(706)이다

國寶 83호 금동미륵보살반가상

金銅彌勒菩薩半跏像

서울 용산구 용산동 국립중앙박물관

조각수법으로 보아 국보(國寶) 제78호 반가상보다

연대가 내려와, 삼국(三國) 말기에 의 제작이 아닌가 추정되고 있다.

國寶 85호 금동신묘명삼존불

金銅 辛卯銘三尊佛

경기 용인시 (호암미술관)

현존하는 금동 일광삼존(一光三尊) 형식의 불상 중 가장 크고,

조상(造像) 연대는 광배 명문(銘文)에 나타난 인명(人名)이나

조상양식으로 보아 고구려불(高句麗佛)로 보여지며,

'신묘(辛卯)'는 평원왕(平原王) 13년

북제 무평(北齊 武平) 2년, 571)으로 추정되고 있다

國寶 118호 금동 미륵 반가상

1944년 평양시 평천리에서 공사를 하던 중

출토된 작은 보살상으로 높이 17.5㎝이다.

이 보살상으로 고구려의 예를 확인할 수 있어 주목된다.

國寶 119호 연가7년명 금동여래입상

고구려와 관련된 글이 새겨져 있는 불상으로,

옛 신라 지역인 경상남도 의령지방에서 발견되었다는 점이 주목된다.

전체 높이는 16.2㎝이다.

國寶 127호 삼양동금동관음보살입상

이 보살상은 삼각형 모양의 관에 작은 부처 하나를 새기고 있는 점과

오른손에 정병을 들고 있는 점으로 볼 때 관음보살이 분명하며,

만든 시기는 7세기 전반으로 추정된다.

國寶 128호 금동관음보살입상

충청남도 공주에서 출토되었다고 전해지며 백제시대의 양식을

잘 보여주는 자그마한 보살입상으로 높이 15.2㎝이다.

國寶 129호 금동보살입상

경기도 용인시 호암미술관에 소장되어 있는

높이 54.5㎝의 금동보살입상으로,

통일신라시대에 유행하던 보살상의 양식과 특징을

잘 보여주고 있다.

國寶 134호 금동보살삼존상

강원도 춘천에서 출토된 것으로 전해지는 이 보살상은

하나의 광배(光背)에 삼존상을 배치한 형식이며,

불신(佛身), 광배, 대좌(臺座)가 함께 붙어 있는 독특한 작품이다.

國寶 182호 금동여래입상

1976년 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 봉한 2동 뒷산에서 공사를 하던 중

금동관음보살입상 2구와 함께 출토되었다

만든 시기는 8세기 초로 추정된다

國寶 183호 금동보살입상

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에서 공사를 하던 중금동여래입상(국보 제182호),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4호)과 함께 출토되었다.

國寶184호 금동보살 입상

경상북도 선산군 고아면에서 공사를 하던 중

금동여래입상(국보 제182호), 금동보살입상(국보 제183호)과

함께 출토되었다.

國寶 200호 금동보살입상

부산시립박물관에 소장되어 있는 이 불상은

정면을 향해 가슴을 펴고 당당하게 서 있는 금동보살상으로,

대좌(臺座)와 광배(光背)는 없어졌지만 비교적 잘 보존된 작품이다.

國寶 293호 금동관세음보살입상

1970년에 충청남도 부여군 규암면의 절터에 묻혀 있던

무쇠솥에서 다른 하나의 관음보살입상과 함께 발견된

보살상으로 높이는 21.1㎝이다

;;;

國寶 72호 금동계미명삼존불

金銅癸未銘三尊佛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제작은 백제(百濟) 위덕왕(威德王) 10년(북제(北齊)

하청(河淸) 2년, 563)으로 추정되고 있다

國寶 73호 금동삼존불감

金銅三尊佛龕

서울 성북구 (간송미술관)

불감(佛龕)이란 원래 호지불(護持佛)을 봉안하기 위하여

불당건축을 작게 모작(模作)한 것이다.

그러므로 불감은 여기에 봉안된 불상과 아울러

공예와 조각 양면으로 조형미를 고찰하는 대상이 된다.

;;

國寶 24호 석굴암 석굴 (石窟庵 石窟)

경북 경주시 진현동 891 석굴암

석굴암(石窟庵)은 신라(新羅) 경덕왕(景德王) 10년(751)

당시의 재상(宰相)인

김대성(金大城)에 의해서 창건(創建)되었다고 전한다.

석굴암(石窟庵)의 조각(彫刻)들은 심오(深奧)한 믿음과

우아(優雅)한 솜씨가

조화(造化)된 통일신라시대(統一新羅時代)의 가장 뛰어난

세계적(世界的)인 걸작(傑作)으로

한국불교예술(韓國佛敎藝術)의 대표작(代表作)이다.

;;

國寶 27호 불국사 금동아미타여래 좌상

(佛國寺 金銅阿彌陀如來 坐像)

경북 경주시 진현동 15 불국사

국사 극락전(極樂殿)에 주존불(主尊佛)로 봉안되어 있는 불상이다

높이 166㎝로 이 상(像)은 전체적으로 장중한 모습이며

신체나 옷주름도 비교적 사실적(寫實的)으로 표현하였다.

불상은 조성연대가 국보 제26호와 거의 비슷한

800년을 전후한 시기로 추정된다.

;;

國寶 84호 서산마애삼존불상

瑞山磨崖三尊佛像

충남 서산시 운산면 용현리

제작시기는 6세기말이나 7세기초로 보인다.

특히 이곳은 백제시대 중국교통로의 중심지인 태안반도에서

부여로 가는 길목에 해당하므로 이 마애불은

당시의 활발했던 중국과의 문화교류의 분위기를

엿볼 수 있게 하는 걸작의 불상이라 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