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사)백제예술문화연구소
百濟一日一史
부여의 백제예술문화(扶餘의 百濟藝術文化)
세도면
금강의 하류로 부여읍 규암 장암을 거쳐 세도 동쪽에 북에서 강물이 유입 남서로 감싸 돌고 강건너 석성 파진산과 강경과 마주보며 전라북도 완주군과 경계로 도계와
논산군에 위치하며 고대부터 최근 1950년대 까지도 여객선과 선박으로 물류수송이 발달된 곳이다.
따라서 사료는 없으나 지형으로 볼때 백제시대의 많은 이야기가 있는 곳으로 생각된다.
백제 때는 가림군(加林郡)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가림군(嘉林郡)에 속했었다. 백제가 부여에 환도하기 전에 이미 인류가 정착한 지역으로 추정되며 농경사회로 접어드는 그 처음부터 취락이 형성되었다고 추정하는 일설도 있다.
고려 때는 임천군(林川郡)에 속했으며 조선시대 초기에는 임천군 지역이었다.
조선시대 말기에는 임천군 초신면의 지역으로서 1914년 부여군 세도면에 편입되었다.
세도면은 조선시대 임천군(林川郡)의 동남쪽 금강 변에 위치하여 석성현(石城縣)과 고다진(古多津), 은진현(恩津縣)과 랑청진(浪淸津), 전라도(全羅道)의 용안현(龍安縣)과 청포진(菁浦津)을 통하여 서울과 호남을 왕래하는 교통의 요지였다.
그 당시 초동면(草洞面)지역의 청룡리(靑龍里), 간리(間里), 대로하리(大路下里), 우산리(牛山里), 사동리(寺洞里), 동신동리(東神洞里), 소니산리(蘇尼山里)와 세도면(世道面)지역의 귀덕리(歸德里), 계양리(桂陽里), 청포리(菁浦里), 인의면(仁義面) 지역의 중산리(中山里), 언고현리(言古峴里), 홍가동리(洪哥洞里), 장토리(長土里), 회화정리(檜花亭里), 백암면(白巖面) 지역의 화수리(花樹里), 산사리(山寺里), 사랑리(沙浪里), 반조원리(頒詔院里), 신리면(新里面)지역의 기층리 (幾層里), 고추동리(高秋洞里), 수다해리(水多海里), 송산리(松山里)가 현재의 우리 지역 이었으며, 1914년 면 폐합으로 사산리(沙山里) 지역인 산사리(山寺里)와 사랑리(沙浪里)를 제외한 리를 청송리(靑松里), 반조원리(頒詔院里), 화수리(花樹里), 수고리(水古里), 동사리(東寺里), 간대리(艮大里), 청포리(菁浦里), 귀덕리(歸德里), 장산리(長山里), 가회리(佳檜里)의 10개 법정리로 폐합하여 관할 하였으며, 반조원리에 있던 면사무소를 1930년 11월 20일 현 위치로 이전하여 현재에 이르고 있으며 1973년 7월 1일 대통령령 6542호로 장암면(場岩面) 사산리(沙山里)를 세도면에 편입하여 11개 법정리를 관할하고 있다.
세도면의 대표적인 무형문화재는 산유화가와 세도 두레풍장이 있다.
문화재는 먼저 산유화가는 모심는 첫 메김구인 “산유화야 산유화야”에서 발췌한 것으로 세도면에 전승돼 내려오는 농요이다. 이는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제4호로 지정돼 있다.
또 세도 두레풍장은 농촌에서 농사일이나 길쌈 등을 협력해 마을 일을 함께하기 위해 만든 공동노동조직인 두레에서 농사일 등 고단한 노동을 위로하기 위해 풍장을 친 데서 유래한 것으로 세도에서도 이 같은 일이 행해져 내려오고 있다. 세도 두레풍장은 충청남도 무형문화재 28호로 지정돼 있다.
문화재자료는 동곡서원과 동사리 석탑이 있다.
동곡서원은 고려 공민왕 때 회양 부사 조신의 충절을 추모·제향하기 위해 위패를 모신 서원이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92호로 지정돼 있다.
또 동사리 석탑은 세도면 동사리에 있던 고려시대 석탑으로 현재는 국립부여박물관에 있다. 충청남도 문화재자료 제121호로 지정돼 있다.
향토문화유산으로는 동곡서원 흥학당, 가회리 장군제, 이강 묘 및 정려, 삼의정터 및 제방림, 조성일부부 정려비, 임채원 정려, 목천상씨 안동권씨 정려, 토성산성, 윤이수·윤창수·윤갑 정려, 낭산사, 조응록 영정, 조응록 영정 이모 본, 강의성·강희 정려, 다근진나루 및 구경정, 귀덕리 고인돌 등이 있다. (문화재청 국립부여박물관 부여군지 )
'[부여군정(고향)소식] > 부여군 지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찾아가는 부여 마을 문화]<세도면/반조원리편> 정찬응 (2) | 2025.06.24 |
---|---|
[찾아가는 부여 마을 문화]<세도면/청송리편> 정찬응 (2) | 2025.06.24 |
[찾아가는부여 마을 문화]<장암면/점상리편> 정찬응 (1) | 2025.06.21 |
[찾아가는부여 마을 문화]<장암면/지토리편> 정찬응 (1) | 2025.06.21 |
[찾아가는부여 마을문화]<장암면/하황리편> 정찬응 (1) | 2025.06.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