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 부여 마을 문화]<세도면/화수리편>정찬응

사)백제예술문화연구소
百濟一日一史
부여의 백제예술문화(扶餘의 百濟藝術文化)
세도면 화수리(花樹里)
세도면의 북쪽에 위치해서 동남쪽으로는 토성산이 그리고 중앙에 군환산이 서서 비교적 낮은 산악지대를 이루며 서쪽에서 동남쪽으로 흘러가는 화수천 유역과 남쪽에 펼쳐지는 들이 넓은 지역에 화수리는 자리한다. 야산지대에 자연스럽게 피는 꽃이 아름다워 인심도 후하다는 화수리는 봄과 가을을 통해서 시인 묵객이 많이 찾아드는 지역이기도 하다.
백제 때는 가림군(加林郡)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가림군(嘉林郡)에 속했었다. 인류의 정착은 백제 때부터이며 가림성(加林城) 지역의 외곽성인 토성산성이 이 지역에 있는 것으로 보아 백제 때는 군사적으로 중요한 위치를 차지한 지역이었다.
고려 때는 임천군에 속했으며 조선시대 초기에는 임천군 성백면의 지역이었다. 고려 때부터 마을이 형성되기 시작하여 조선시대 말기에는 임천군 성백면의 지역으로서 화중개, 화징개 또는 화중(花中), 화수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개혁 때에 화수리라 하고 부여군 세도면에 편입되었다.
자연마을로는 옛날에 마을에 부처가 있었다 해서 불무골, 봉무동, 불뭇골, 마을이 서쪽에 있으므로 서편이, 쇠판이, 서편리, 마을 뒷산의 형국이 꿩이 숨은 형국이라 윤치, 은치(隱稚), 장승이 있던 마을이라 장성배기, 마을 지형이 항상 꽃이 만개한 것 같다 하여 화징개, 화중개(花中開), 화중, 화수라고도 부르는 마을들이 있으며, 백제 때의 토성으로 화수산성(花樹山城)이 있고 고려시대의 폐사지(廢寺址)가 있으며 소형 동종(銅鐘)이 출토되기도 했다.
(문화재청 국립부여박물관 부여군지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