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찾아가는 부여 마을문화]<장암면/상황리편> 정찬응

사)백제예술문화연구소
百濟一日一史
부여의 백제예술문화(扶餘의 百濟藝術文化)
상황리(上黃里)
장암면의 남쪽에 위치해서 서쪽으로는 낮은 산악지대로 둘러싸여 있으며 그 산악지대에서 동쪽으로 흘러가서는 금강에 유입하는 하황천가에 펼쳐진 들과 남산골천, 법주천, 사왕천, 애개울천 등 작은 냇물의 유역에 펼쳐진 들에 자리한 지역이 상황리다.
백제 때는 가림군(加林郡)에 속했으며 신라 때는 가림군(嘉林郡)에 속했었다.
백제 때 인류는 이미 정착해 있었으며 마을의 형성도 따랐던 지역으로서 낮은 야산지대와 강변이 당시 사람들이 생활을 누리는데 좋은 입지적 조건이었다. 또한 그래서 이곳에 백제 왕릉이 있다는 설도 부인 못할 사실로 남아있기도 하다.
임천조씨의 시조묘가 이곳에 있으며 옥녀직금형(玉女織錦形)의 명당자리가 있다는 설도 흥미 있는 일로 남아있는 지역이다. 본래 임천군 남산면의 지역으로서 누른다리 또는 상황교, 상황이라 하였는데 고종 32년(1895) 남내면에 편입되었다가 1914년 행정구역 개혁때 하황리 일부를 병합하여 상황리라 하고 부여군 장암면에 편입되었다.
남산골 서쪽 오암산 아래 백제 왕릉(百濟王陵)으로 전해지는 묘 3기가 있으며, 옛날부터 왕릉이 있다는 마을로 왕림(王林)이라 불려지고 있다. 또한 위누른다리, 남산의 마을이 있다.
유적은 부여상황리고분군(扶餘上黃里古墳群)이 있다. 장암면 상황리화림동과 왕림동에 있는 백제시대(6세기 후반∼7세기 후반)고분군으로 해발 160m의 화림산(花林山) 남쪽비탈의 중간지점에 3개소로 나뉘어 군집해 있다. 괴석조석실분(塊石造石室墳)과 판석조석실분(板石造石室墳)이 섞여 있는데, 괴석조석실분이 단연 다수이다.
고분군의 가까이에는 평야지대가 펼쳐져 있으며, 북쪽에는 백제의 산성인 원산성(圓山城)이 있어 다른 곳의 백제고분들과 유사한 지리적 환경을 구비하고 있다.
상황리 화림동고분은 서쪽으로 약 30° 가량 기울어진 채 남쪽을 향하고 있는 판석조석실분으로, 묘실(墓室)의 전체길이는 2.93m이며, 현실(玄室)은 길이 2.65m, 너비 95㎝, 벽의 높이 72㎝, 천장높이 1.8m의 규모이다. 연도(羨道)의 길이 28㎝, 너비 65㎝이다. 현실과 연도의 차이는 길이가 10:1 정도, 너비가 1.5:1 정도로서 이렇게 길이의 차이가 많이 나는 것은 연도형식의 변천순서상 후기에 속하는 것인데, 나중에는 아예 생략되어 버린다. 동벽과 서벽은 여러 장의 판석을 세워 축조하였으며, 북벽은 두장의 판석을 나란히 세운 뒤 그 위에 다시 판석 한장을 가로로 세웠는데 천장의 형태는 꺾임천장[平斜天障]이다. 연도는 남벽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축조시기는 부장품이 수습되지 않았기 때문에 자세히 알 수는 없으나, 천장형식으로 미루어볼 때 대체로 6세기 후반에서 7세기 후반에 걸친 시기로 추정된다.
(문화재청 국립부여박물관 부여군지)